유토피아 - 토마스 모어, 어디에도 없음 주의 (2)

안녕하세요 생활리뷰어 최고씨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고전소설 리뷰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하 편 입니다.




#유토피아는? 

소설 <유토피아>는 토마스 모어 자신과 다양한 세계를 다녀온 가상의 인물 라파엘 논센소의 대담을 적어놓은 책입니다. 토마스 모어는 굶주리고 고통받는 영국의 현실을 교모히 비꼬면서 이상적인 정책을 라파엘 논센소라는 인물을 통해 제안합니다.



#유토피아의 위치 

유토피아는 적도너머 남반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당시 남반구와 북반구는 교류가 거의 없었으며, 미지의 세계에 있는 유토피아에는 천여년전 로마인 그리스인들이 난파로 인해 우연히 상륙하여 고대의 지식을 전달해 주었을 뿐이라고 합니다. 



#유토피아의 탄생 

유토피아는 섬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본래 반도의 형태인 유토피아는 유토포스라는 사람에 의해 정복되었습니다. 유토포스는 유토피아반도를 점령하자마자, 지협에 수로를 파게 만들어 인공적인 섬을 만들어냅니다. 



#유토피아의 지리적 특징 

지형적으로 완벽하게 만들어져있으며, 해변과 호수, 항구가 어느곳에서나 쉽게 접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항구의 입구는 온갖 암초가 즐비하고 있어 자연의 요새를 만들어 줍니다. 오직 유토피아 인들만이 안전한 길을 알고 있어 외국인은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들어 올 수 없습니다.



#유토피아의 구성 

유토피아는 같은 언어, 법, 제도, 관습을 사용하는 커다란 54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도시들간의 최소거리는 24마일 40km정도입니다. 각 도시마다 연장자 3명이 도시의 의원으로 뽑혀 유토피아의 수도 에어캐슬시로 갑니다. 


모든 도시들은 토지욕심이 전혀 없으며 토지는 경작의 대상일뿐입니다. (????)



#유토피아의 생활 

기본적으로 유토피아는 공동체 생활을 하기 때문에 사유재산이라는 개념이 미비합니다. 어찌 보면 공산주의 미화라고 보여질 수 도 있는데, 이것은 토마스모어가 생각하는 당시 절대왕정에 휘둘리는 민초들의 고통을 보며 생각해낸 이상적인 국가상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다시 유토피아 이야기로 돌아가겠습니다.


유토피아는 전역에 농사장비가 완비된 농가가들이 있으며 주민들은 정기적으로 돌아가며 농가에서 살게 됩니다. 도시거주민은 시골에서의 2년간의 복무를 마치고 도시로 돌아가고 도시에서는 다시 농가로 사람을 파견합니다. 


국방의 의무대신 농경의 의무가 있는것입니다. 각 농장은 40명씩 구성되어 있고, 20명씩 교대로 서로 지식을 공유하며, 농경지식을 이어갑니다.  물론 유토피아도 말뚝을(?) 박을수 있습니다. 


농경이 잘 맞는 사람은 그냥 그곳에 머무르며 농장을 관리하고 식량을 유통하는 일을 담당하게 됩니다. 이런 농경의 의무는 유토피아에 식량으로 인해 벌어지는 비극을 없엤습니다. 


밀과 보리는 오로지 빵을 만드는 데만 사용되고, 술은 오로지 과실주만 만들어냅니다. 도시들은 연간 식량 사용량을 산출하여 필요한 양을 초과하는 곡식을 재배하고 이웃도시들에게 나눠줄 여분의 식량을 비축합니다.


유토피아의 54개 도시는 대부분 같기 때문에 라파엘 노센소는 '에어캐슬시' 유토피아의 수도를 설명합니다. 


유토피아인들은 풍요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하여 자신들이 정원을 가꾸는데 주력합니다. 



#유토피아의 정치 

서른가구 마다 가구를 대표하는 관리를 뽑고, 이중에서 시장을 비밀투표로 선출합니다. 선출된 시장은 독재 체제를 구축하려는 의심을 받지않는 이상 평생 시장직을 이행하게 됩니다. 


사흘에 한번씩은 회의를 열며 회의에서 현안들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합니다.



#유토피아의 노동

유토피아는 농경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입니다.  아동교육에는 농경이 필수과정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모두가 필수인 농경 외에도 유토피아 시민들은 자신만의 특별한 직업을 갖기도 합니다. 대장장이, 목수, 재봉사 등 직접적으로 필요한 직업을 갖습니다. 


하루 6시간의 정해진 일을 하면, 유토피아인들은 여가시간을 즐깁니다. 워낙 풍족한 생활을 즐겨하는 유토피아 인들에게 육체적 향락과 사치는 어리석은 일입니다. 그들은 여가시간의 대부분을 지적 향유를 즐기기 위해 학문을 배우거나, 연구를 합니다. (???)



#유토피아의 외교 

유토피아의 외교문제를 돈과, 용병으로 해결합니다. 적국이 쳐들어오면 적의 적에게 지원해줘 유토피아에 침략하지 못하게 하거나, 더욱 강력한 용병을 붙여 접근조차 하지 못하게 합니다. 


 어려서 부터 금은보화를 가치없는 것으로 여기는 유토피아 인들은 노예들에게 쓰는 사슬을 금과 은으로 만들고 아이들의 장난감을 보석으로 사용합니다. 한 외교사절단이 유토피아에 자신들의 부를 자랑하기 위해 치렁치렁 금은보화로 장식을 하고 왔는데 유토피아 인들에게는 노예들이 착용하는 금은을 주렁주렁 달고 거만하게 다니는 걸 보고 의아하게 생각 했을 것입니다. 노예들이나 금은보화를 착용한다는 사실을 알게된 외교사절단은 황급히 치장을 벗었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그들은 귀금석과 보석을 중시 여기지 않기 때문에 외국에서 공무원파견 요청이 들어와 공무원을 파견하기도 합니다. 



#유토피아의 종교 

유토피아에는 종교의 자유가 있습니다. 그들이 어떤 신을 믿는지는 상관없지만 대부분 신의 존재를 믿고있으며 전도는 엄격하게 법으로 금지 되어있습니다.





#유토피아를_읽고 

유토피아는 당대의 사회적 현상을 종합적으로 비판하고 풍자한 토마스모어의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현 시대에 와서는 유토피아라는 말이 완벽한 나라, 또는 이상향을 뜻하는 단어가 되어버렸지만 토마스모어의 시대라면 모를까 현대인들의 관점에서 본다면 유토피아는 정말 지루하고 따분한 도시일 것입니다.  

  

유토피아는 짧고 굵직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이 라파엘 논센소의 입에서 나오는 유토피아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논센소의 설명에 토마스모어는 현실의 영국을 이야기하며 "여기는 이런데 그곳은 어떻습니까?" "와! 대단하군요 선생님 그곳에서 익힌 것을 나라를 위해 쓰셔야지 않겠습니까?" 하며 유토피아의 제도적 우수성을 영국과 비교합니다. 


책 전반에 걸쳐 유토피아의 완벽한 모습 (당시 사람들이 느끼기에는 완벽한 모습)이 나옵니다. 국토의 구성, 도시, 정치, 결혼풍습, 가치관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실제로 있는 나라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당시의 인문주의자들이 유토피아를 읽고 풍자적인 잔치라고 평하였다는 사실을 보면 토마스모어가 꼭 자신이 희망하는 이상향을 그렸다고는 보기 힘든 것 같습니다. 


다만 그 당시 사회의 부조리를 역설적으로 표현하여 비판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유토피아를 읽고 토마스모어가 상상하는 이상적인 나라를 살펴보았습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현시대와 모어의 유토피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돈이 많다면 지금이 살기 좋은 것 같습니다.


만약 토마스모어가 현 시대로 돌아와 다시 한 번 유토피아를 쓴다면 어떤 모습이 그려질까요? 기존에 썻던 그 남반구의 유토피아와는 모습이 많이 다를 것 같습니다. 아마 에너지와 데이터무제한이 필수로 들어가지 않을까요? 


여러분의 유토피아는 어떤 모습일지 그려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토마스 모어가 그린 완벽한 나라 소설 <유토피아>, 하나의 국가가 어떻게 돌아가게 되는지에 대해 고민하신다면, 이상향이 무엇인지 고뇌 하신다면, 한 번 읽어보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실제로 소설이라지만 단순하게 어떤 나라를 소개하는 투로 계속 진행이 되기 때문에 읽기 어렵거나, 재미가 있거나 하진 않습니다. 


올 여름 휴가지로 유토피아 어떨까요? 


세상 어디에도 없는 그 곳 <유토피아>리뷰를 마칩니다.


끗-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